반응형 주택임대차계약3 전세월세 주택임대차계약 신고 대상 및 신고방법 주택임대차계약을 맺으신 분이라면 30일 이내에 꼭 주택임대차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안하시면 과태료 최대 100만원이니 늦지않게 신청하세요. 주택임대차계약 신고란?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란 임대차 계약 당사자(임차인과 임대인)가 계약을 체결한 후 30일 이내에 임대기간, 임대료, 특약 등의 내용을 관할 구청에 공동으로 신고하는 제도입니다. 주택임대차계약 신고 총정리! (신고 방법, 양식, 신고기한, 신고 사이트) 임차가구 현황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지역의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주택임대차 계약은 신고를 해야합니다. 주택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주택으로서, 사실상 건물의 주된 economy.pipelineleewoo.com 주택 임대차 신고 서류 및 양식 신고서류는 총 2가지로 1) .. 2023. 7. 19. 주택임대차보호법 총정리! [확정일자, 임대차계약신고, 전월세, 대항력] 월세로 산다면 꼭 알아야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놓치지 말고, 100퍼센트 자기껄로 만들고 가세요. 주택임대차보호법이란?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세입자와 임대인 간의 임대차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입니다. 이 법률은 주택 임대차 계약의 기본 원칙, 계약 조건, 계약해지 절차 등을 규정하여 공정한 임대차 관계를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 보증금 6천만원 이상, 월세 30만원 초과인 전세 및 월세 계약건은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내에 공동신고를 꼭 해야합니다. 이 부분은 밑에 글을 클릭하셔서 참고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주택임대차 보호법 적용범위 및 존속기간 적용범위 1. 사실상 주된 부분이 주거용 건물인 임대차에 적용한다. 2. 미등기전세에도.. 2023. 7. 12. 주택임대차계약 신고 총정리! (신고 방법, 양식, 신고기한, 신고 사이트) 임차가구 현황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지역의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주택임대차 계약은 신고를 해야합니다. 주택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주택으로서, 사실상 건물의 주된 부분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권리 포함)라면 신고대상이 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서 양식 주택임대차 계약서 양식입니다. 밑에 양식 파일을 넣어놨습니다! 부동산 거래 계약서는 밑에 버튼을 통해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주택임대차계약 신고대상 (1) 대상 지역 -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군(광역시 및 경기도 내 군에 한정), 구(자치구) (2) 대상 임대차 금액 - 보증금 6천만원 초과 또는 월 차임 30만원 초과 임대차(갱신계약 포함, 단 보증금 및 차임 증감 없이 임대차기간만 연장하는 계약은 제외) 주택임대차계약 신고기한 .. 2023. 7. 7. 이전 1 다음 반응형